클라우드 매뉴얼

Home > 클라우드 > 스토리지 > 블록 스토리지 사용하기 > 블록 스토리지 마운트하기

리눅스 서버에 마운트 하기 리눅스 서버에 마운트 하기

• g클라우드 스토리지는 관리콘솔에서 서버와 연결한 후, 운영체제에서 별도 마운트 설정을 해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서버에 원격 접속 한 후, 해당 서버에 연결된 g클라우드 스토리지를 조회합니다.
 

[root@gcloud-seoul-test ~] fdisk -l           # 서버에 연결된 g클라우드 스토리지를 조회합니다.

 

- 운영체제가 설치되어 있는 루트 스토리지(루트 볼륨)는 /dev/vda로 표기됩니다.

- g클라우드 스토리지(데이터 볼륨)는 /dev/vdb, /dev/vdc, /dev/vd[d, e, f…] 등으로 표기되며, 서버에 연결된 수만큼 알파벳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부여됩니다.

- 서버 생성 시, g클라우드 스토리지(데이터 볼륨)을 함께 생성한 경우, 관리콘솔에서 g클라우드 스토리지를 명시적으로 서버와 연결하지 않더라도 연결된 상태(/dev/vdb)로 제공됩니다.

 

 

2. 마운트할 g클라우드 스토리지를 선택한 후 파티션을 생성합니다.

 

[root@gcloud-seoul-test ~] fdisk /dev/vdc     # 마운트 대상(vdb, vdc, vd[d, e, f…])을 선택합니다.
command : n                                   # 파티션 추가 명령어(n, new partition)를 입력합니다.
Select : p                                    # 기본 파티션 타입(p, primary)을 선택합니다.
Partition number : 1                          # 파티션 고유 번호를 선택합니다.
First sector: (enter)
Last sector: (enter)
# 파티션의 시작 섹터와 끝 섹터를 선택합니다. First sector와 Last sector를 입력하지 않을 경우, 스토리지 전체를 하나의 파티션으로 사용하게 됩니다.
command : w                                   # 변경 사항을 저장(w, write)합니다.


- 위 예제와 같은 경우, 생성이 완료된 파티션은 파티션 생성 시 입력한 Partition number(1)가 반영되어, /dev/vdc1로 표기됩니다.

- 사용자 환경에 맞게 설정 값을 변경하여 다양한 파티션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3. 생성된 파티션을 파일 시스템으로 포맷합니다.

 

[root@gcloud-seoul-test ~] mkfs.xfs /dev/vdc1      # /dev/vdc1 파티션을 xfs 파일 시스템으로 포맷합니다.

 

- xfs, ext4 등 사용자가 원하는 다른 파일시스템으로도 포맷할 수 있습니다. 

 

• 디스크를 추가할 서버의 OS에 따라 지원되는 파일시스템을 생성해야 합니다.

※ 기본 파일시스템: CentOS, RockyLinux → xfs / Ubuntu → ext4



4. 파티션을 마운트합니다.

 

[root@gcloud-seoul-test ~] mkdir target             # 디렉토리를 생성합니다.
[root@gcloud-seoul-test ~] mount /dev/vdc1 /target  # 생성한 디렉토리(/target)에 /dev/vdc1을 마운트합니다.


 

5. (서버를 재시작해도 마운트가 유지되길 바라는 경우) 자동 마운트 설정을 입력합니다.

 

[root@gcloud-seoul-test ~] vi /etc/fstab          # vi 편집기를 활용해 fstab를 실행합니다.
(a)                                               # vi 편집기를 명령 모드에서 편집 모드로 전환합니다.
…                                            
/dev/vdc1 /target xfs defaults 0 0
// fstab 문서 하단에 파티션(/dev/vdc1)을 디렉토리(/target)에 자동으로 마운트하는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ctrl+c)                                          # 편집 모드를 종료합니다.
(:wq)                                             # 문서를 저장한 후, vi 편집기를 종료합니다.

 

• 자동 마운트 설정을 하지 않을 경우, 서버가 재시작되면 마운트가 해제됩니다.

• fstab에 정확한 정보를 입력하지 않은 경우, 서버의 재시작이 정상적으로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fstab에 이상이 없으면 mount -a 명령어 실행 시 fstab에 등록된 모든 스토리지가 정상적으로 마운트됩니다.


6. 파일 시스템 정보를 조회해, 스토리지가 마운트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root@gcloud-seoul-test ~] df -h
# df 명령어를 통해, 시스템에 마운트 되어있는 파일 시스템 정보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 조회 결과 예시 ###
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
/dev/vda1       180M   39M  128M  24% /boot                     # 루트 볼륨의 파티션 1(vda1)
/dev/vda3        48G  2.0G   43G   5% /                         # 루트 볼륨의 파티션 3(vda3)
…
/dev/vdc1       148G   60M  140G   1% /target                   # 데이터 볼륨의 파티션 1(vdc1)

 

  • 블록 스토리지 사용하기

    • 블록 스토리지 알아보기

    • 블록 스토리지 생성하기

    • 블록 스토리지 연결하기

    • 블록 스토리지 연결 해제하기

    • 블록 스토리지 용량 변경하기

    • 블록 스토리지 삭제하기

    • 블록 스토리지 마운트하기

  • NAS 사용하기

    • NAS 알아보기

    • NAS 생성하기

    • CIFS 인증정보 관리하기

    • NAS 마운트하기

    • NAS 삭제하기

  • NAS 스냅샷 사용하기

    • NAS 스냅샷 알아보기

    • NAS 스냅샷 생성하기

    • NAS 스냅샷 복구하기

    • NAS 스냅샷 삭제하기

  • 클라우드 백업 사용하기

    • 클라우드 백업 알아보기

    • 클라우드 백업 생성하기

    • 클라우드 백업 설정 변경하기

    • 클라우드 백업으로 복구하기

    • 리눅스 서버 방화벽 허용하기

    • 클라우드 백업 삭제하기

  • 매니지드 백업 사용하기

    • 매니지드 백업 알아보기

    • 매니지드 백업 신청하기

    • 매니지드 백업 경로 변경하기

    • 매니지드 백업 복구 신청하기

    • 매니지드 백업 해지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