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매뉴얼
Home > 클라우드 > 공공 클라우드(구) > 컴퓨팅 > 클라우드 서버 사용하기
1. 공공기관 전용 클라우드 관리콘솔(orgcloud.gabia.com)에 접[컴퓨팅 - 클라우드 서버]를 클릭합니다. 속해 상단 메뉴에서
2. [서버 생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3. 서버의 서비스존과 서버 및 스토리지 타입을 선택합니다.
① 서버를 생성할 서비스존을 선택합니다.
② 서브넷을 선택합니다.
③ 서버 타입으로 ‘베이직 또는 프리미엄’을 선택합니다.
④ 스토리지 타입으로 'HDD'를 선택합니다.
4. 서버의 이미지를 선택합니다.
① [이미지 선택] 버튼을 클릭합니다.
②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합니다.
③ [선택] 버튼을 클릭합니다.
• 베이직/프리미엄 서버 이미지는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 이미지, 직접 생성한 이미지 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직접 생성한 이미지를 서버 이미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생성할 서버와 같은 타입의 서버 이미지만 선택할 수 있습니다. •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기본 OS 이미지는 Windows, Linux(Rocky Linux , Ubuntu)가 있습니다. • 간편 설치 프로그램은 MSSQL, CUBRID, Tibero 등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MSSQL은 Windows을 지원하며, CUBRID, Tibero 는 Rocky Linux를 지원합니다. • CentOS의 지원이 2024년 6월 30일 종료됨에 따라 공공기관 전용 클라우드에서는 해당 기본 이미지를 2024년 7월 19일부터 판매하지 않습니다. |
5. 서버명과 서버 설명을 입력합니다.
① 서버명을 입력합니다.
② 서버 설명을 입력합니다. (선택사항)
• 서버명은 영문, 숫자, 특수문자(하이픈 ‘-‘, 언더바 ‘_’)를 조합하여 최대 16자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서버명은 하이픈 ‘-‘, 언더바 ‘-‘로 시작하거나 끝날 수 없습니다. • 서버 설명은 최대 100자까지 입력할 수 있습니다. |
6. 서버의 사양, 사용자 스크립트, 서버 접속 보안 방식을 설정합니다.
① CPU 사양을 선택합니다.
② 메모리 사양을 선택합니다.
③ 루트 볼륨을 선택합니다.
④ 데이터 볼륨을 선택합니다.
• 이미지에 따라 가능한 CPU와 Memory의 최소 사양, 최대 사양이 있을 수 있습니다. 베이직 서버의 최소 사양은 CPU 사양이 최소 1vCore, Memory 사양이 1GB입니다. (Windows(OS)가 포함된 이미지의 경우, CPU 사양이 최소 2vCore, Memory 사양이 2GB이어야 합니다.) • 루트 볼륨 사양 변경은 자동으로 할 수 없습니다. 50GB를 100GB로 변경하려면 나의 이미지를 만들어 새로운 서버를 생성해야 합니다. |
• 루트 볼륨은 OS 설치를 목적으로 하는 공간으로, 해당 공간에 저장해둔 데이터가 장애 등으로 손실되는 경우 가비아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중요 데이터 저장 및 프로그램 설치는 데이터 볼륨(클라우드 스토리지)에 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
7. 설정 내용 확인 후 [서버 생성] 버튼을 클릭하여 서버를 생성합니다.
8. 생성된 서버를 서버 리스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HDD 서버의 경우 Fast-provisioning 기능을 통해, 관리콘솔에서 g클라우드 서버 생성을 요청하는 즉시 이용 및 운영이 가능합니다. 단, 실제로 내부적인 프로세스는 최대 10분이 소요되기 때문에 해당 기간 동안 ‘스냅샷 생성’, ‘서버 정지’, ‘서버 강제정지’, ‘서버 삭제’ 기능은 이용할 수 없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