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매뉴얼
Home > 클라우드 > 가비아 클라우드 Gen1 > 모니터링 > 모니터링 사용하기
|
1. 서버에 원격 접속한 후, 해당 서버에 munin-node를 설치합니다.
- 리눅스 배포판으로 CentOS 계열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
[root@gcloud-seoul-test ~] yum -y install munin-node # munin-node를 설치합니다.
- 리눅스 배포판으로 Ubuntu 계열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
[root@gcloud-seoul-test ~] apt-get -y install munin-node # munin-node를 설치합니다.
|
2. munin-node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합니다.
- 리눅스 배포판으로 CentOS 계열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
[root@gcloud-seoul-test ~] rpm -qa|grep munin # 설치 여부를 확인합니다.
- 리눅스 배포판으로 Ubuntu 계열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
[root@gcloud-seoul-test ~] dpkg -l|grep munin-node # 설치 여부를 확인합니다.
3. Munin 설정 파일(munin-node.conf) 변경합니다.
[root@gcloud-seoul-test ~] vi /etc/munin/munin-node.conf
# vi 편집기를 활용해 munin-node.conf를 실행합니다.
(a) # vi 편집기를 명령 모드에서 편집 모드로 전환합니다.
…
# And which port
port 4949
cidr_allow 192.0.0.0/8
cidr_allow 10.0.0.0/8
// munin-node.conf 문서에서 port 4949가 쓰여진 위치를 찾아 위와 같이 입력합니다.
(ctrl+c) # 편집 모드를 종료합니다.
(:wq) # 문서를 저장한 후, vi 편집기를 종료합니다.
4. Munin을 실행합니다.
- 리눅스 배포판으로 CentOS 7.x, Rocky linux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root@gcloud-seoul-test ~] systemctl start munin-node # Munin을 실행합니다.
- 리눅스 배포판으로 CentOS 6.x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root@gcloud-seoul-test ~] /etc/init.d/munin-node start # Munin을 실행합니다.
- 리눅스 배포판으로 Ubuntu 계열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
[root@gcloud-seoul-test ~] /etc/init.d/munin-node start # Munin을 실행합니다.
5. Munin이 서버 재시작 시에도 실행되게 설정합니다.
- 리눅스 배포판으로 CentOS 7.x, Rocky linux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root@gcloud-seoul-test ~] systemctl enable munin-node # 서버가 재시작 되어도 자동으로 실행되게 설정합니다.
- 리눅스 배포판으로 CentOS 6.x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
[root@gcloud-seoul-test ~] chkconfig munin-node on # 서버가 재시작 되어도 자동으로 실행되게 설정합니다.
- 리눅스 배포판으로 Ubuntu 계열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
[root@gcloud-seoul-test ~] update-rc.d munin-node defaults 99
# 서버가 재시작 되어도 자동으로 실행되게 설정합니다.
컴퓨팅
서버 사용하기
스냅샷 사용하기
이미지 사용하기
이미지 백업 사용하기
사용자 스크립트 사용하기
오토스케일링 사용하기
SSH 키 페어 사용하기
스토리지
블록 스토리지 사용하기
NAS 사용하기
NAS 스냅샷 사용하기
클라우드 백업 사용하기
매니지드 백업 사용하기
네트워크
서브넷 사용하기
NAT 게이트웨이 사용하기
공인 IP 사용하기
로드밸런서 사용하기
하이브리드 커넥터 사용하기
CDN 사용하기
하이브리드
IDC 장비
커넥터
보안
방화벽 사용하기
웹방화벽(Appliance) 사용하기
웹방화벽(Software) 사용하기
SSL 인증서 사용하기
SSL VPN 사용하기
바이러스 백신 사용하기
DB 보안 사용하기
웹쉘 탐지 사용하기
IPS 사용하기
매니지먼트
매니지드 서비스 사용하기
모니터링 솔루션 사용하기
HA 솔루션 사용하기
모니터링
모니터링 사용하기
모니터링 알람 사용하기
계정 및 결제
요금 관리 사용하기
계정 관리 사용하기
기술자료
운영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