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매뉴얼

Home > 클라우드 > 공공 클라우드(구) > 컴퓨팅 > 클라우드 서버 사용하기

SSD 타입 베이직/프리미엄 서버 생성하기 SSD 타입 베이직/프리미엄 서버 생성하기

1. g클라우드 관리콘솔(gcloud.gabia.com)에 접속해 상단 메뉴에서 [컴퓨팅 - g클라우드 서버]를 클릭합니다.

 

 

2. [서버 생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3. 1단계 서버 설정에서 서비스 존 '가산 IDC-B' 선택 후 서버 타입과 스토리지 타입을 선택합니다.

① 서버 타입은 '베이직' 또는 '프리미엄'을 선택합니다.

② 스토리지 타입은 'SSD'를 선택합니다.

 

 

4. 서버의 이미지를 선택합니다.

 

①  [이미지 선택] 버튼을 클릭합니다.

②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합니다. 

③ [선택] 버튼을 클릭합니다.

 

• 프리미엄 서버 이미지는 g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기본 이미지, 간편 설치 프로그램, 직접 생성한 이미지, 공유된 서버 이미지 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직접 생성한 이미지와 공유된 서버 이미지를 서버 이미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생성할 서버와 같은 타입의 서버 이미지만 선택할 수 있습니다.
• g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기본 OS 이미지는 Windows, Linux(CentOS, Ubuntu)가 있습니다. 
• 간편 설치 프로그램은 MSSQL, APM(Apache, PHP, MySQL), NPM(Nginx, PHP, MySQL), WORDPRESS, ATM(Apache, Tomcat, MySQL) 등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MSSQL은 Windows을 지원하며, APM, NPM, WORDPRESS, ATM은 CentOS를 지원합니다.
예시) ‘CentOS-7.2-x86_64-apm’를 선택할 경우, g클라우드 서버에 64bit 환경(x86_64)의 CentOS 7.2버전의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Apache, PHP, MySQL이 기본으로 설치됩니다.

 

 

5. 서버명과 서버 설명을 입력합니다.  서버명은 실시간으로 중복 확인이 됩니다. 서버 설명은 선택사항 입니다.

서버명은 영문, 숫자, 특수문자(하이픈 ‘-‘, 언더바 ‘_’)를 조합하여 최대 16자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
서버명은 하이픈 ‘-‘, 언더바 ‘-‘로 시작하거나 끝날 수 없습니다.
서버 설명은 최대 40자까지 입력할 수 있습니다.
동시에 생성할 수 있는 서버의 개수는 10개까지 입니다.

 

 

6. 서버의 사양을 선택합니다.

①  CPU 사양을 선택합니다.  SSD 베이직은  2vCore/4vCore/8vCore  중 택 1, SSD 프리미엄은 4vCore/8vCore/16vCore 중 택 1 입니다.

②  메모리 사양을 선택합니다. SSD 베이직은  4GB/8GB/16GB  중 택 1, SSD 프리미엄은 32GB/64GB/128GB 중 택 1 입니다.   단, CPU가 16vCore이면 메모리는 16GB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③ 루트 볼륨을 50GB, 100GB 중 선택합니다.

④ 데이터 볼륨을 입력합니다.   데이터 볼륨은 10GB 단위로 입력할 수 있으며, 1000GB까지 가능합니다. 버튼을 이용하여 입력해도 됩니다.

⑤ 데이터 볼륨의 장착을 원하지 않으면 [삭제] 버튼을 이용하여 삭제할 수 있습니다.

⑥  추가 데이터 볼륨 장착을 원하면 [볼륨 추가] 버튼을 이용하여 총 3개까지 추가할 수 있습니다.

SSD 베이직/ 프리미엄 서버는 서버 생성 이후 필요에 따라 CPU 사양과 Memory 사양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습니다. 서버가 정지 상태일 때 사양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SSD 베이직/ 프리미엄 서버의 경우, 데이터 저장 및 프로그램 설치를 목적으로 하는 데이터 볼륨(SSD 스토리지)을 함께 생성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추가 혹은 별도로 삭제하거나 분리할 수 있습니다. 서버가 정지 상태일 때 데이터 볼륨을 수정할 수 있습니다.

 

루트 볼륨은 OS 설치를 목적으로 하는 공간으로, 해당 공간에 저장해둔 데이터가 장애 등으로 손실되는 경우 가비아에서 책임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중요 데이터 저장 및 프로그램 설치는 데이터 볼륨(g클라우드 스토리지)에 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7. 사용자 스크립트 사용 여부를 설정합니다. (선택 사항)

①  OS이미지로 CentOS 또는 Windows를 선택했을 때 사용자 스크립트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기본은 '사용 안 함'입니다. 사용자 스크립트  '사용'을 선택하면  호스트명과 스크립트를 설정할 수 있는 화면이 펼쳐집니다.

② 호스트명을 입력합니다.

③ 기본 제공 스크립트 또는 사용자 스크립트 중 선택 합니다.

 

 

8. 접속 보안 방식을 선택합니다.

① 비밀번호를 선택할 경우, 서버에 로그인할 때 관리자 아이디와 비밀번호로 접속합니다. 비밀번호는 생성 완료 후 이메일로 전송됩니다.

SSH 키 페어를 선택할 경우, 서버에 로그인할 때 키 페어 접속 아이디와 개인 키 파일로 접속합니다.

② SSH 키 페어를 선택한 경우, 서버에 연결할 키 페어를 리스트에서 선택합니다.

③ 'SSH 키 페어 추가' 버튼을 눌러 새로운 키 페어를 생성하여 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다음] 버튼을 눌러 연결 자원으로 이동합니다.

 

 

9. 공인 IP 및 방화벽 그룹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선택 사항)

 

①  공인 IP 신청 여부를 선택합니다.

② 공인 IP를 신청했다면 방화벽 설정을 해야 합니다.

③  현재 목록에 보이는 기존 방화벽 외 새로운 방화벽을 [방화벽 그룹 추가] 버튼을 클릭하여 새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④  [다음] 버튼을 클릭하여 3단계 설정 확인으로 이동합니다.

방화벽의 허용할 IP 대역 및 포트 번호는 [보안 > 방화벽] 메뉴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9.  서버 생성에 필요한 설정 내용과 서비스(예상) 비용 확인 후 [서버 생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설정 내용을 변경하고 싶다면 [이전] 버튼을 클릭하여 해당 설정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10.  생성된 서버를 서버 리스트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SSD 베이직/프리미엄 서버의 경우 Fast-provisioning 기능을 통해, 관리콘솔에서 g클라우드 서버 생성을 요청하는 즉시 이용 및 운영이 가능합니다. 단, 실제로 내부적인 프로세스는 최대 10분이 소요되기 때문에 해당 기간 동안 ‘스냅샷 생성’, ‘서버 정지’, ‘서버 강제정지’, ‘서버 삭제’ 기능은 이용할 수 없습니다.

• APM, NPM이 포함된 이미지를 선택하여 서버를 생성한 경우, APM과 NPM의 설치 경로는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애플리케이션 설치 경로 확인하기

• g클라우드 서버 생성 시, 함께 생성된 데이터 볼륨(SSD 스토리지)은 별도의 마운트 과정을 통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리눅스 서버에 g클라우드 스토리지 마운트 하기
윈도우 서버에 g클라우드 스토리지 마운트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