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매뉴얼

Home > 클라우드 > 공공 클라우드(구) > 스토리지 > NAS 사용하기

리눅스 서버에 마운트하기 리눅스 서버에 마운트하기

• NAS는 생성 이후, 운영체제에서 별도 마운트 설정을 해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리눅스 배포판 및 세부 버전(CentOS 7.x, CentOS 6.x, Ubuntu 14, 16, 18)에 따라 마운트 방법이 다릅니다.
• 리눅스 서버에는 NFS 타입의 NAS만 마운트할 수 있습니다.

 

  

마운트 패스  확인 하기  

  

 

     

• [Mount_path]는 관리콘솔(https://orgcloud.gabia.com/nas)의 NAS 상세 정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CentOS 7.x 리눅스 서버에 NAS 마운트 하기

 

 

1. 서버에 원격 접속 한 후, 해당 서버에 rpcbind와 nfs-utils를 설치합니다.

 

[root@gcloud-seoul-test ~] yum -y install rpcbind nfs-utils   # rpcbind와 nfs-utils를 설치합니다.

 

 

2. NFS 설정 파일(nfs-idmap.service) 변경합니다.

 

[root@gcloud-seoul-test ~] vi /usr/lib/systemd/system/nfs-idmap.service         
# vi 편집기를 활용해 nfs-idmap.service를 실행합니다.
(a)                                               # vi 편집기를 명령 모드에서 편집 모드로 전환합니다.
…                                            
[Install] 
WantedBy=multi-user.target
// nfs-idmap.service 문서 하단에 위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ctrl+c)                                          # 편집 모드를 종료합니다.
(:wq)                                             # 문서를 저장한 후, vi 편집기를 종료합니다.

 

 

3. NFS 설정 파일(nfs-lock.service) 변경합니다.

 

[root@gcloud-seoul-test ~] vi /usr/lib/systemd/system/nfs-lock.service      
# vi 편집기를 활용해 nfs-lock.service를 실행합니다.
(a)                                               # vi 편집기를 명령 모드에서 편집 모드로 전환합니다.
…                                            
[Install] 
WantedBy=nfs.target
// nfs-lock.service 문서 하단에 위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ctrl+c)                                          # 편집 모드를 종료합니다.
(:wq)                                             # 문서를 저장한 후, vi 편집기를 종료합니다.

 

 

4. 설치한 프로그램이 부팅 시 자동 실행 되도록 등록하고 실행합니다.

 

[root@gcloud-seoul-test ~] systemctl enable rpcbind      # 부팅시, rpcbind가 자동으로 실행됩니다.
[root@gcloud-seoul-test ~] systemctl enable nfs-idmapd   # 부팅시, nfs-idmapd가 자동으로 실행됩니다.
[root@gcloud-seoul-test ~] systemctl enable rpc-statd     # 부팅시, rpc-statd가 자동으로 실행됩니다.
[root@gcloud-seoul-test ~] systemctl start rpcbind       # rpc bind를 실행합니다.
[root@gcloud-seoul-test ~] systemctl start nfs-idmapd    # nfs-idmapd 를 실행합니다.
[root@gcloud-seoul-test ~] systemctl start rpc-statd     # rpc-statd 를 실행합니다.

 

 

5.  NAS를  마운트합니다.

 

[root@gcloud-seoul-test ~] mkdir target             # 디렉토리를 생성합니다.
[root@gcloud-seoul-test ~] mount -t nfs [Mount_path] /target
# 생성한 디렉토리(/target)에 NAS를 마운트합니다.
# Mount_path는 g클라우드 관리콘솔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시)10.0.0.0:/nas_mount_path

 

 

6. (서버를 재시작해도 마운트가 유지되길 바라는 경우) 자동 마운트 설정을 입력합니다.

 

[root@gcloud-seoul-test ~] vi /etc/fstab          # vi 편집기를 활용해 fstab를 실행합니다.
(a)                                               # vi 편집기를 명령 모드에서 편집 모드로 전환합니다.
…                                            
[Mount_path] /target nfs defaults 1 2
// fstab 문서 하단에 NAS를 디렉토리(/target)에 자동으로 마운트하는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ctrl+c)                                          # 편집 모드를 종료합니다.
(:wq)                                             # 문서를 저장한 후, vi 편집기를 종료합니다.

 

• 자동 마운트 설정을 하지 않을 경우, 서버가 재시작되면 마운트가 해제됩니다.

• 자동 마운트 설정 후에는 반드시 서버를 재시작해 정상적으로 마운트가 되고 있는지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7. 파일 시스템 정보를 조회해, 스토리지가 마운트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root@gcloud-seoul-test ~] df -h
# df 명령어를 통해, 시스템에 마운트 되어있는 파일 시스템 정보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 조회 결과 예시 ###
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
[Mount_path]   1000G  192K 1000G   0% /target                   # NAS

 

 

CentOS 6.x 리눅스 서버에 NAS 마운트 하기

 

 

1. 서버에 원격 접속 한 후, 해당 서버에 nfs-utils를 설치합니다.

 

[root@gcloud-seoul-test ~] yum -y install nfs-utils   # nfs-utils를 설치합니다.

 

 

2. NFS 데몬을 실행합니다.

 

[root@gcloud-seoul-test ~] /etc/init.d/rpcbind start   # rpcbind를 실행합니다.

 

 

3.  NAS를  마운트합니다.

 

[root@gcloud-seoul-test ~] mkdir target             # 디렉토리를 생성합니다.
[root@gcloud-seoul-test ~] mount -t nfs [Mount_path] /target
# 생성한 디렉토리(/target)에 NAS를 마운트합니다.
# Mount_path는 g클라우드 관리콘솔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시)10.0.0.0:/nas_mount_path

 

 

4. (서버를 재시작해도 마운트가 유지되길 바라는 경우) 자동 마운트 설정을 입력합니다.

 

[root@gcloud-seoul-test ~] vi /etc/fstab          # vi 편집기를 활용해 fstab를 실행합니다.
(a)                                               # vi 편집기를 명령 모드에서 편집 모드로 전환합니다.
…                                            
[Mount_path] /target nfs defaults 1 2
// fstab 문서 하단에 NAS를 디렉토리(/target)에 자동으로 마운트하는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ctrl+c)                                          # 편집 모드를 종료합니다.
(:wq)                                             # 문서를 저장한 후, vi 편집기를 종료합니다.

 

• 자동 마운트 설정을 하지 않을 경우, 서버가 재시작되면 마운트가 해제됩니다.

• 자동 마운트 설정 후에는 반드시 서버를 재시작해 정상적으로 마운트가 되고 있는지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5. 파일 시스템 정보를 조회해, 스토리지가 마운트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root@gcloud-seoul-test ~] df -h
# df 명령어를 통해, 시스템에 마운트 되어있는 파일 시스템 정보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 조회 결과 예시 ###
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
[Mount_path]   1000G  192K 1000G   0% /target                   # NAS

 

 

Ubuntu 14, 16, 18 리눅스 서버에 NAS 마운트 하기

 

 

1. 서버에 원격 접속 한 후, 해당 서버에 nfs-common을 설치합니다.

 

[root@gcloud-seoul-test ~] apt-get install -y nfs-common   # nfs-common를 설치합니다.

 

 

2.  NAS를  마운트합니다.

 

[root@gcloud-seoul-test ~] mkdir target             # 디렉토리를 생성합니다.
[root@gcloud-seoul-test ~] mount -t nfs [Mount_path] /target
# 생성한 디렉토리(/target)에 NAS를 마운트합니다.
# Mount_path는 g클라우드 관리콘솔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시)10.0.0.0:/nas_mount_path

 

 

3. (서버를 재시작해도 마운트가 유지되길 바라는 경우) 자동 마운트 설정을 입력합니다.

 

[root@gcloud-seoul-test ~] vi /etc/fstab          # vi 편집기를 활용해 fstab를 실행합니다.
(a)                                               # vi 편집기를 명령 모드에서 편집 모드로 전환합니다.
…                                            
[Mount_path] /target nfs defaults 1 2
// fstab 문서 하단에 NAS를 디렉토리(/target)에 자동으로 마운트하는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ctrl+c)                                          # 편집 모드를 종료합니다.
(:wq)                                             # 문서를 저장한 후, vi 편집기를 종료합니다.

 

• 자동 마운트 설정을 하지 않을 경우, 서버가 재시작되면 마운트가 해제됩니다.

• 자동 마운트 설정 후에는 반드시 서버를 재시작해 정상적으로 마운트가 되고 있는지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4. 파일 시스템 정보를 조회해, 스토리지가 마운트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root@gcloud-seoul-test ~] df -h
# df 명령어를 통해, 시스템에 마운트 되어있는 파일 시스템 정보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 조회 결과 예시 ###
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
[Mount_path]   1000G  192K 1000G   0% /target                   # N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