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매뉴얼
Home > 클라우드 > 공공 클라우드(구) > 보안 > SSL VPN 사용하기
• SSL VPN은 이용자의 PC와 공공기관 전용 클라우드의 사설 네트워크를 암호화된 터널로 연결하여 안전한 통신을 보장하는 보안 서비스로, 주로 서버에 대한 원격접속(SSH, RDP) 용도로 사용됩니다. • 공공기관 전용 클라우드 SSL VPN은 VPN as a Service(VPNaaS) 형태로, VPN을 원할 경우, 언제 어디서든지 수초 이내에 계정 생성만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대상 서버 지정을 통해, 원하는 서버에 대해서만 VPN 대상으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 CC 인증을 취득한 장비로 제공되는 검증된 서비스입니다. • 시간당 15원(최소)의 합리적인 비용으로 SSL VPN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
1. 공공기관 전용 클라우드 관리 콘솔(orgcloud.gabia.com)에 접속해 상단메뉴에서 [보안 > SSL VPN]을 클릭합니다.
2. [VPN 계정 생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3. VPN 계정 생성을 위한 기본 정보를 입력하고 이용하고자 하는 대역폭을 선택합니다.
① 서브넷을 선택합니다.
② 계정명을 입력합니다.
③ 계정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④ 계정 설명을 입력합니다. (선택사항)
⑤ 대역폭을 선택합니다.
⑥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 계정명은 영문, 숫자, 특수문자(하이픈 ‘-‘, 언더바 ‘_’)를 조합하여 최대 14자까지 사용할 수 있습니다. • SSL VPN 계정은 계정명에 가비아계정이 접미사로 붙은 형태(계정명@가비아계정)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시)계정명이 test이고, 가비아 계정이 gabia인 경우, ‘test@gabia’ • 계정 비밀번호는 영문, 숫자, 특수문자를 최소 1회씩 사용하여 9자 이상, 16자 이하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사용 가능한 특수문자: ~ ! @ # ^ * _ - = ` | ( ) [ ] : ; " ' < > , . ? /) • 계정설명은 최대 40까지 입력할 수 있습니다. • CLI 환경(Command Line Interface, 주로 Linux 환경)에서는 5Mbps,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주로 Windows 환경)에서는 10Mbps 이상의 대역폭 설정을 권장합니다. |
4. VPN 대상이 될 서버를 지정하고 생성합니다.
1) 적용 범위로, '모든 서버'를 선택한 경우
① 적용 범위에서 '모든 서버'를 선택합니다.
② [생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 대상 서버로 '모든 서버'를 선택할 경우, 계정 내 모든 서버뿐만 아니라 VPN 계정 생성 이후 생성된 서버도 VPN 대상에 포함됩니다. |
2) 적용 범위로, '일부 서버'를 선택한 경우
① 적용 범위에서 '일부 서버'를 선택합니다.
② 대상 서버를 선택합니다.
③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 대상 서버로 '일부 서버'를 선택할 경우, 선택된 서버만 VPN 대상으로 설정 됩니다. |
5. 설정 내용 및 서비스 비용 확인 후 [SSL VPN 계정 생성] 버튼을 클릭하여 SSL VPN 계정 생성을 완료합니다.
• VPN 서버는 임의로 지정됩니다. • SSL VPN 클라이언트 다운로드 [바로가기] 버튼을 통해, VPN 클라이언트를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 다운로드 받은 VPN 클라이언트를 통해 VPN을 활성화 할 수 있습니다. |
• Windows(OS)를 사용하는 PC에서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 VPN 클라이언트가 설치되는 PC의 사설 네트워크과 g클라우드 사설 네트워크가 중복될 경우, 원활한 서비스 이용을 위해 별도 설정이 필요합니다.(문의: cloud@gabia.com) • 동일한 가비아 계정에서 생성된 VPN 계정은 모두 동일한 VPN 서버를 지정 받습니다. 다른 VPN 서버에 생성된 VPN 계정을 동일한 VPN 클라이언트로 로그인할 경우, OS 레지스트리로 인해 원활히 실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